본문 바로가기
정보

와인 글라스

by poohnr 2024. 1. 24.
반응형

1. 와인 따라 글라스 선택하기

1. 물컵

물컵은 말 그대로 물을 마실 때 사용한다. 품질 좋은 와인이라면 물컵에 따라 마시는 것은 피해야 한다. 왜냐하면 와인의 향을 제대로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2. 쿠프 샴페인 글라스

쿠프 샴페인 글라스는 모양은 예쁘지만 샴페인의 향을 느끼기에는 별로 좋지 않다. 이 글라스는 루이 15세의 애첩 퐁파두르 부인의 왼쪽 가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한다

3. 폴루트 샴페인 글라스

폴루트 샴페인 글라스는 샴페인을 맛보기에 이상적인 글라스다. 때로는 새콤하고 가벼운 화이트 와인이나 키르, 포트와인, 칵테일 같은 식전주도 해당 잔이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다.

4. 이나오 테이스팅 글라스

이나오 테이스팅 글라스는 프랑스 국립원산지명칭연구소에서 채택된 와인 전문가용 테이스팅 글라스로 크기가 상당히 작다. 가격도 저렴하고 모든 종류의 와인에 적합하다. 모양도 예뻐서 파리의 와인바에서 흔히 볼 수 있다.

5. 부르고뉴 와인 글라스

부르고뉴 와인 글라스는 볼이 많이 나오고 립은 좋은 형태이다. 부르고뉴 와인에 가장 알맞지만 화이트 와인이나 생산된 지 얼마 안 된 어린 레드 와인에도 어울린다. 와인 향을 모아주므로 향을 한껏 즐길 수 있다.

6. 그랑 부르고뉴 와인글라스

그랑 부르고뉴 와인 글라스는 값비싼 고급 부르고뉴 와인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좁아졌다 넓어지는 형태 때문에 와인향이 모였다가 립으로 올라오면서 흩어지며 부케가 펼쳐진다.

7. 보르도 와인 글라스

보르도 와인 글라스는 볼이 긴 튤립 형태로 모든 와인에 어울리지만 산화되기 쉬운 일부 화이트 와인은 피한다. 부르고뉴와는 달리 립이 볼보다 살짝 좁고 충분히 열려 있어 혀 전체에 와인이 넓게 닿는다. 따라서 강한 와인에 적합하다.

8. 다목적 글라스

다목적 글라스는 보르도와 형태는 같지만 크기가 좀 더 작다. 가벼운 화이트 와인 강한 화이트 와인 어린 레드 와인과 오래된 레드 와인에 적합하다. 강한 샴페인도 괜찮다. 모든 와인 종류에 쓸 수 있지만 와인의 독특한 개성을 살려내는 것은 조금 부족하다.

9. 화려한 컬러 글라스

글라스 가격에 상관없이 와인용으로는 안 어울린다. 와인 색을 제대로 볼 수 없고, 와인 향이 금방 흩어져버리기 때문이다. 특별한 추억이 있는 게 아니면 차라리 미니화분이나 캔들 홀더로 사용하는 게 낫다.

와인 따라 글라스
와인 따라 글라스

2. 스템이 있는 와인 글라스가 좋은 이유

1. 와인이 데워지지 않는다 

체열은 와인에게 치명적인 열기나 마찬가지다. 스템이 있으면 체온이 와인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와인의 온도 상승을 막는다.

2. 와인 향을 발산시킨다

볼이 둥근 글라스는 와인 향이 글라스 안을 자유롭게 휘둘다가 모여올라와 후각적 즐거움을 준다. 결과적으로 와인 향을 훨씬 잘 느끼게 된다.

3. 와인글라스를 하나 선택해야 한다면

작은 보르도 와인글라스 또는 큰 다목적 글라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둘 다 거의 모든 종류의 와인과 상황에 어울리기 때문이다. 너무 작은 글라스는 강한 와인이 제맛을 다 표현하지 못하며 너무 큰 글라스는 산화되기 쉬운 일부 화이트 와인의 맛이 변할 수 있으므로 피한다. 이밖에도 모양이 다른 글라스가 많다. 장식용으로 어울릴 만한 글라스도 있고, 와인의 특성이 더욱 두드러지도록 고안된 특수 형태의 글라스도 있다. 예를 들어 셰프 앤 소믈리에의 오픈업 같은 와인글라스는 각진 형태로 볼을 넓혀 와인이 향을 최대한 발산한다. 향이 풍부한 와인과 섬세한 와인 중에서 무엇을 좋아하느냐에 따라 글라스를 선택하면 된다.

4. 유리와 크리스털 와인 글라스

크리스털은 아주 얇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립을 종잇장보다 살짝 두꺼운 정도로 만들 수 있다. 립 부분이 두툽 한 싸구려 물컵과 달리 크리스털 글라스에 마시면 입술에 닿을 때 가볍고 우아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글라스를 의식하지 않고 와인에 집중할 수 있다. 유리잔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서 와인이 쉽게 데워지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무엇보다 크리스털은 표면이 유리보다 거칠다. 그렇기 때문에 와인을 공기와 접촉시키기 위해 잔을 흔들 때 와인이 글라스 표면에 더 잘 붙어 보다 많은 향을 발산하게 된다. 하지만 크리스털 글라스는 상당히 비싸므로 깨지지 않도록 조심해서 다루어야 한다. 그리고 와인을 자주 마시지 않는데 글라스가 많이 필요하다면 크리스털은 포기하는 게 좋다. 최근에는 크리스털처럼 보이면서 쉽게 깨지지 않는 신소재 글라스도 많이 나와있다.

5. 와인 글라스 세척하기

1. 세척하기

주방용 세제로 글라스를 직접 닦거나 세제 거품을 글라스에 잠시 부어놓았다가 닦으면 깨끗해진다. 하지만 다음에 와인을 마실 때 세제 냄새가 난다. 주방용 세제를 많이 넣고 식기 세척기에 세척하면 글라스에 좋지 않은 잔향이 남으며 와인을 마실 때 쓴맛이 난다. 파티가 끝나자마자 와인글라스를 뜨거운 물로 닦는다. 주방용 세제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 스펀지로 립 부분만 살짝 문지른 후 식기건조대에 말리거나 바로 행주로 물기를 제거한다. 이때 립 부분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입술자국을 잘 닦는다. 물이 뜨거울수록 글라스에 물 얼룩이 남지 않고 말끔하게 건조된다.

2. 정리하기

글라스가 마른 후 와인글라스 정리용 레일이 있다면 거꾸로 걸어 정리한다. 수납장에 정리할 때는 베이스가 밑으로 오게 세워서 정리한다. 종이박스에 담아서 정리하면 종이냄새가 글라스에 배게 되므로 피한다. 달리 방법이 없다면 글라스를 반드시 물로 헹군 후 사용한다. 수납장에 보관할 때는 절대로 글라스를 거꾸로 세워서 보관하지 않는다. 바닥을 통해 수납장 냄새가 글라스에 배게 되고 다음에 와인을 마실 때 와인에서 수납장 냄새가 난다.

 

 

반응형